본문 바로가기
03_주식 오답노트

정배열과 역배열? 그게 뭐야?

by 척척박사공박사 2021. 1. 20.
반응형

[03_주식 오답노트] - 거래의 흐름을 알려주는 이동평균선, 그런 게 있어?

 

 

이전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다. 공부한 것은 좋았으나,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매매하란 걸까?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정배열과 역배열이라고 한다.

 

 

  1. 정배열과 역배열이란?

 

 

정배열: 주가 > 단기 이동평균 > 장기 이동평균

역배열: 장기 이동평균 > 단기 이동평균 > 주가

 

 

정배열은 주가가 단기 이동평균 보다 높고,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보다 높은 경우이다. 이에 대해서는 조금 생각하면 납득이 되는데,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다면 이러한 순서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로, 역배열은 그 반대인데, 점점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 위와 같은 순서로 배열이 되게 된다.

 

 

  2. 정배열, 역배열일 땐 어떤 거래를 해야 될까?

 

 

이쁘게 주가가 정배열/역배열일 경우 매도/매수를 하기보단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선뜻 납득하기 어려운데 왜일까?

 

    (i) 정배열일 경우

 

 정배열일 경우 상승추세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급하게 매도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다만, 이전에 배웠던 데드 크로스 같이,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으로 가는 경우 매도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다.

 

    (ii) 역배열일 경우

 

역배열일 경우도 마찬가지다. 정말 강력한 하락 추세이기 때문에 주가가 더 내려갈 추세를 가진 상황이다. 그렇기에 섣불리 매수하기보다는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맞다. 하지만 이 역시 골든 크로스가 나오는 경우 바로 매수 타이밍이 되게 된다.

 

 

  3. 사례 스터디

 

삼성전자의 일봉 그래프 (@네이버 금융)

 

삼성전자의 그래프를 보자, 위에서 부터 차례로 5일선 > 주가 > 20일선 > 60일선 > 120일선인 것을 볼 수 있다. 완벽한 정배열은 아니기 때문에, 강력한 상승세가 한풀 꺾인 상태이다. 다만 아직 5일선과 20일선이 교차한 상태는 아니기에, 매도를 하기보다는 향후 방향을 관망할 필요가 있는 듯하다. 

 

 

SK하이닉스의 일봉 그래프 (@네이버 금융)

하이닉스의 그래프의 경우 주가 > 5일선 > 20일선 > 60일선 > 120일선으로 정배열되어있는 상태이다. 다만, 정배열이 다시 된 지 얼마 안되기 때문에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