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3_주식 오답노트

우량한 배당주, 어떻게 고를까?

by 척척박사공박사 2020. 10. 24.
반응형

[02_Money 오답노트] - 미국 배당주, 가장 효율적으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 배당주, 가장 효율적으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최근, 급속도로 떠오르는 재테크 종목 중 특히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항목이 미국 배당주이다. 배당주를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하는지에 대한 글을 쓰던 도중 어떻게 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docnote.tistory.com

[02_Money 오답노트] - 그래서 우선주가 뭔데? 보통주랑 다른 거야?

 

그래서 우선주가 뭔데? 보통주랑 다른거야?

주린이들이 주식을 보다 보면 당황스러운 순간이 많은데, 그중 하나가 우선주를 처음 접했을 때인 것 같다. 필자도 종목 검색을 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연관검색어 창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 아래

docnote.tistory.com

 

 

위와 같이 필자는 이전에 배당주에 대한 많은 포스팅을 하였다. 하지만, 필자와 같은 조심스럽게 투자를 하는 입장에선, 오랫동안 배당을 유지해오고, 배당률이 높다고 큰돈을 투자하기엔 겁이 나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우량한 배당주를 고를 수 있을까? 

 

 

  1. F-score 전략

 

 

유명한 전략 중 시카고경영대학원에 재직 중인 조셉 피오트 로스키 교수의 F-score 전략이 있다. 9개의 지표로 점수를 매기는데, 각 지표는 아래와 같다.

 

1. 당기순이익이 0 이상인가?

2. 영업현금흐름이 0 이상인가?

3. ROA가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4. 영업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높은가?

5. 부채비율이 전년대비 감소했는가?

6. 유동비율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7. 당해 신규 주식 발행을 하지 않았는가?

8. 매출총이익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9. 자산회전율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여기서 좀 더 나아가서, 하나금융투자의 김용구 애널리스트가 소개하신 발굴 모델은 아래와 같다.

 

1. 전분기 순이익이 흑자

2. 전전분기 영업 현금 흐름 < 전분기 영업 현금 흐름

3. 전전분기 ROA < 전분기 ROA

4. 전분기 영업 현금 흐름 > 순이익

5. 전전분기 비유동 부채 비율 > 전분기 비유동 부채 비율

6. 전전분기 유동 비율 < 전분기 유동 비율

7. 주식 수 증가 X

8. 전전분기 매출 총이익 < 전분기 매출 총이익

9. 전전분기 총자산 회전율 < 전분기 총자산 회전율

 

이러한 9가지 항목의 점수를 먹여, 9점인 기업을 찾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너무 엄격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개인이 정한 기준에 따라 몇 점 이상에서 투자를 할지 선정하는 게 이 모델이다.

 

하지만 필자와 같은 주린이에게는, 순이익, 영업 현금 흐름, 등 여러 용어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어디서 조회해야 할지 모르겠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 어떻게 찾아서 계산해봐야 할까?

 

 

  2. 재무제표에서 F-score 항목 찾기

 

 

[02_Money 오답노트] - 미국 주식 재무제표? 어디서 보는 건데?

 

미국 주식 재무제표? 어디서보는건데?

주린이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재무제표'가 아닐까 싶다. 주식을 시작했다고 하면 제일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가 '재무제표는 볼 줄 알아?'인 것 같다. 재무제표를 이해할 줄 아는 것은 둘째

docnote.tistory.com

필자가 이전에 작성한 재무제표 찾는 법에 이어, 찾은 재무제표의 정보를 근거로 F-score 항목 찾는 법을 알아보자.

 

  (a) 순이익

 

순이익 = 'Net Income'으로 검색하면 된다. 

순이익 검색 결과

  (b) 영업 현금 흐름

 

영업 현금 흐름 = 'Net Cash Provided by Operating Activities'로 검색하면 된다.

 

영업 현금 흐름 검색 결과

  (c) ROA

 

총자산 순 이익률 (ROA)로 Net Income/총자산으로 구할 수 있다. 총 자산 = Total asset으로 검색하면 된다.

 

Total Asset 검색 결과

 

  (d) 비유동 부채 비율

 

비유동 부채 비율 = 비유동 자산 (Non-current asset) / 부채 (Current liabilities)로 구할 수 있다. 비유동 자산은 위에서 구한 Total Asset - Current asset으로 구할 수 있다.

 

  (e) 유동 비율

 

유동 부채 비율 = 유동 자산 (Current asset) / 부채 (Current libabilities)로 구할 수 있다. 

 

유동 자산 검색 결과

 

  (f) 주식 수

 

주식 수는 주식명을 검색하면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시로 investing.com에서도 쉽게 나온다.

 

investing.com 주식 수 정보창

 

  (g) 매출 총 이익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 (Operating income) - 매출원가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로 구할 수 있다.

 

매출액, 매출원가 검색 결과

  

  (h) 총 자산 회전율

 

총 자산 회전율은 매출액/총자산으로 구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